Web Application의 동작 순서
클라이언트 요청 → Web Server → WAS → DB → WAS → Web Server → 클라이언트에 응답
- 요청 : 주소란에 http://www.naver.com/을 입력
- 요청에 해당하는 주소 도메인을 받아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받음
- 받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옴
- 받아온 데이터를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처리하여 웹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전달
JSP(Java Server Pages)란?
HTML코드에 JAVA 코드를 넣어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도구로,
JSP 실행 → Java Servlet으로 변환
- > HTML은 스크립트 언어이므로 컴파일이 되지않음.
- > Servlet는 Java 코드로 작성되어 있어 Jsp실행하면 같이 생성 됨
WAS(Web Application Server)
: Apache Tomcat 주로 사용
Apache Tomcat 9 version 관련 디렉토리
bin : 실행 파일 관련
conf : 환경 파일
lib : 라이브러리(db 연동)
logs : 로그
webapps : jsp, java , html 파일들이 들어가는 곳.
: http://localhost:8080/ ROOT 파일이 경로의 기본 경로 설정주소임.
즉, ROOT 폴더안에 helloWorld.jsp 파일을 만들어 넣어뒀다면,
http://localhost:8080/helloWorld.jsp 경로에 내가 만든 웹 페이지 화면이 표시된다.
Servlet 이란?
Servlet 파일
- @WebServlet(”/HelloWorld”) : url 주소와 서블릿을 매핑 시켜주는 어노테이션
- 메소드는 doGet, doPost 2개가 있다.
Servlet 인터페이스에서 상속을 받으면 구현 해야함.
<interface>Servlet → <abstract> GenericServlet ,HttpServlet
클라이언트 요청 방식은 get,post
- GET 방식 : url로 주소,파라미터 포함 255자 이하 쿼리스트링으로 전송(보안 취약)
- POST 방식 : http 패킷의 바디부분에 데이터를 담아 전송
→ html 문서에서 get 방식으로 호출하면, Servlet에 작성된 doGet 메소드로 응답한다.
: Ex) Servlet에 작성된 doGet 메소드의 파라미터인 request, response 객체에 담아온다.
<form method=”get” action=”servlet/Method”>
<input type=”submit” value=”get 방식으로 호출하기”> </form>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ponse.getWriter().append("Servedat:").append(request.getContextPath()); }
서버에서의 응답 방식
: HttpServletResponse 클래스 response 객체의 setContentType 메소드를 호출해서 응답 방식과 문자셋 지정
→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charset=euc-kr”);
: text/html 으로 응답하고, 문자셋은 euc-kr
출력 통로
PrintWriter 클래스 타입의 out 참조변수가
HttpServletResponse 클래스 response 객체의 getWriter 메소드를 가리킨다.
'Category > JSP&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ssion 이란? (0) | 2023.11.27 |
---|---|
Cookie란? (0) | 2023.11.24 |
2. Servlet에서 데이터 처리하기 (1) | 2023.11.22 |
[JSP] JSP에서 Javascript 사용하기 (0) | 2023.11.10 |
[JSP] PreparedStatement 란? (0) | 202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