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2 [리액트] 컴포넌트간 데이터 전송방식 리액트에서 props를 통해 state를 상위컴포넌트에서 하위컴포넌트로 전달하는 방식은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그러나 이러한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우는 주로 상위 컴포넌트가 상태를 관리하고, 그 상태를 하위 컴포넌트에서 활용할 때 사용되어야한다. 쇼핑몰 웹 사이트를 리액트로 개발하는 상황에서 예를 들어보면, function Content(){ function getProducts(category){ axios .get(`product/${category.toLowerCase()}`) .then((response) => { console.l.. 2025. 1. 23. [React] 리액트 주요 개념 리액트의 주요특징 1. 가상 DOM :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 View를 변경할때, 사용자의 클릭등의 이벤트에 따라 DOM 을 변경하여 웹 사이트 내용을 갱신한다. 그러나 React는 Virtual DOM을 도입하여 리액트에서 실제 DOM의 복사본인 가상 DOM을 만든뒤, 변화를 주고 싶은 부분의 DOM을 변경하여 실제 DOM과 가상 DOM의 차이점만 반영하게 된다. 2. 컴포넌트 기반 리액트에서 요소를 렌더링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으로 함수형 또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통해 요소를 생성한다. 리액트의 기본 프로젝트 구조중에서 index.js라는 하나의 파일에서 웹 페이지가 생성된다. root는 React의 가장 베이스 요소이고, 해당 root 요소 안에 이라는 컴포넌트를 삽입한 형태인 것이다. 다음은 Ap.. 2024. 3.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