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를 공부하면서 사용하던 Gradle에 대해 막연히 무엇인지 알지못한채 의존성을 추가하고 이런저런 작업을 하다가,
그래들이 무엇인지 궁금해져, 공부를 해보았다.
그래들(Gradle)이란
기존에 사용하던 Ant, Maven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JVM에서 작동하는 Groovy를 이용한 빌드 자동화 관리도구이다.
여기서, 빌드 자동화 관리도구란?
우리가 작성한 소스코드들을 컴파일,테스트,정적분석등을 통해 컴퓨터가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들어주는(Build) 것을 빌드라고 하는데, 이러한 빌드 과정을 자동화해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빌드자동화 시스템인 Gradle을 통해 매번 추가되는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추가하고, 버전을 쉽게 동기화해주는 역할을 통해 편리하게 개발에 집중할수있는 아주 좋은 도구이다.
아직까진 Maven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Gradle은 빠른 빌드속도, 설정주입방식의 프로젝트, Maven이 사용하는 XML문법이 아닌 Groovy문법을 사용하여 간결한 스크립트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있다!
빌드 자동화도구가 없었던 시절부터, Gradle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하는 지금까지, 시간이 흐를수록 사람에게 더욱더 편리해지기위해 다양한 자동화 기술들이 생겨나고있는데, 새롭게 개발공부를 시작한 나는 '당연히 자동으로 되는게 아닌가?' 라는 생각을 갖고 공부를 하다보니 이러한 기술들의 중요성이나, 의미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지 못한것같다.
온고지신(溫故知新) 이라는 말처럼 앞으로도 계속 새롭게 등장하고 발전하는 기술들을 배우기위해 더욱더 폭넓은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Category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GetMapping과 PostMapping (0) | 2023.10.13 |
---|---|
[자바]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 (1) | 2023.10.11 |
[JAVA] Static 이란? (1) | 2023.10.10 |
[자바] 배열을 활용하여 로또번호 만들기 (0) | 2023.10.09 |
[자바 스프링부트] 윈도우 CMD에서 빌드(build)하는방법 (0)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