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Spring22 [Spring] JUnit과 slf4j 사용하여 단위 테스트 하기 JUnit Controller를 만들면서,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위해 매번 Tomcat을 켜고 직접 url에 들어가 웹페이지 상에서 일일이 입력값을 주고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을 해왔었는데, JUnit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IDE안에서 기능의 작동여부를 확인할수있다! 이처럼 메소드 단위로 Test하는것을 단위테스트라고 한다. JUnit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기본적으로 들어있지만, Spring-test 디펜던시를 추가해줘야한다. version은 사용하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버전을 입력한다. slf4j 개발을 하면서, 중간중간 System.out.println() 을 통해 제대로 값이 들어갔는지등등 확인해왔었는데, slf4j를 통해 로그를 찍어 확인 할 수있다. log4j는 보안문제로 인해 sl.. 2024. 1. 3. [Spring] RestController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Resource)를 대표하도록 설계된다는 개념에 HTTP 전송방식을 결합하여 원하는 작업을 지정하는 방식이다. 즉, REST는 자원 기반 구조설계의 중심에 Resource가 있고, HTTP Method를 통해 해당 자원을 처리하도록 설계된 아키텍쳐이다. 주요 어노테이션 @RestController : 메소드의 리턴타입으로 사용자가 정의한 클래스 타입을 사용할 수 있고,이를 JSON이나 XML으로 자동으로 변환해준다. ResponseBody : 일반적인 View로 전달되는게 아니라, 데이터 자체(XML,JSON)를 전송하기위한 용도. RequestBody : JSON 데이터를 원하는 타입으로 바인딩 처.. 2024. 1. 3. [Spring] 공공데이터 사용법, XML 파일 읽기 공공데이터 포털 주소 https://www.data.go.kr/index.do 공공데이터 포털 사이트에 들어가면 공공기관 및 정부기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파일데이터나, Open API 형태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공공데이터 오픈API 를 스프링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공부해보았다. 공공데이터 포털 -> 데이터 찾기 -> 데이터목록에 들어가보면 다양한 공공데이터들이있다. 이중 오픈 API를 지원하는 공공데이터를 골라 활용신청을 누르면 [자동승인] 이라고 나와있는 것들은 바로 승인되어 사용할 수 있다. 신청후 상세보기에 들어가보면 해당 오픈 API는 REST 방식으로 통신하며 데이터 포맷은 XML 형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서를 열어 사용 예시를 확인해보면, 해당 서비스 URL에 발급받은 .. 2023. 12. 28. [Spring] 스프링의 기본 xml파일들 스프링 MVC 패턴의 기본 동작 구조는 다음과 같다. 스프링 MVC 패턴 동작구조 1. 클라이언트로 부터 오는 모든 요청은 DispatcherServlet 이 가장먼저 받게된다. 이러한 구조를 프론트 컨트롤러(Front-Controller)이라고 한다. 2. DispatcherServlet이 받은 요청을 Controller에 위임을 하고, 개별 컨트롤러(핸들러)는 해당 컨트롤러에 쓰여진 로직대로 동작을 수행한 결과 값을 Model에 담아 DispatcherServlet에 보내면, View 템플릿으로 전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보낼 화면을 전송한다. 이러한 스프링 MVC 구조에 대한 설정 파일은 web.xml , servlet-context.xml , root-context.xml 이 있다.web.xml 은 .. 2023. 12. 22. 이전 1 2 3 4 5 6 다음